-
추상표현주의, 잭슨폴록그 외 2018. 11. 14. 01:35
잭슨 폴록1912. 1. 28 ~ 1956. 8. 11
미국에서 태어난 액션페인팅의 대표적인 화가로, 구겐하임과 비평가 그린버그의 후원을 받았다.
전형적인 미국 서부 주제에 기초한 풍경과 구상 회화가 주를 이루다
독창적인 전환을 이룰 수 있게 된 계기 두 가지로 작품이 추상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첫 번째로 멕시코의 벽화가인 다비드 시케이로스의 작업실에서 페인트를 붓고 떨어뜨리는 것이 예술적 기법일 수 있으며, 그림 표면에 에나멜페인트와 모래,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두 번째로는 1937년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정신분석을 받고 나서부터 작품에 변화가 생긴다.
액션 페인팅
-물감을 떨어트리거나 흘러내리게 하는 등 즉흥적인 행동으로 제작하여, 그린다는 행위 자체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려고 하였다.
전통적인 그리기 방식을 거부하며 결과보다 작품 제작 행위 자체가 예술이라 생각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선구자로 미국 미술계의 자존심이기도 했던 그는 이후 팝아트 같은 미술 운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추상 표현주의
추상표현주의 명칭은 미국 평론가 알프레드 바 가 칸딘스키의 초기작품에 대해 사용했던 말로 형식은 추상적이나 내용은 표현주의적이라는 데서 유래.
194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1950년대 중반에 보편화되었으며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의 앵포르멜과 미국을 중심으로한 액션 페인팅으로 구분되며, 미국 추상미술은 1950년대를 경계로 액션페인팅과 색면추상으로 나뉜다.
앵포르멜
2차 세계대전 후 프랑스 중심으로 일어난 서정적 추상회화의 한 경향으로 전통성의 거부, 과거와의 단절이란 성격을 지닌다. 격정적이며 주관적인 것이 특징이다.
주요 화가로는 포르티에, 뒤 뷔페, 마튜 등이 있다.
액션 페인팅
1950년대 뉴욕을 중심으로 액션페인팅이라는 전위적 회화운동이 발발
그려진 결과보다는 그리는 행위 자체를 중요시 하며 기법은 물감이나 페인트를 떨어트린다거나 뿌려서 화면 구성을 한다. 잭슨 폴록이 대표적 작가다.
색면 추상
형태의 소수 단순화, 캔버스 규모의 확대로 무한히 펼쳐지는 듯한 색면에 의해 색채의 힘을 보여준다
바넷 뉴먼, 마크 로스코는 폴록의 화면 개념에 색채에 대한 관심을 결합'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화 접착제아 아교/유기안료 (0) 2018.11.14 한국화 무기안료 (0) 2018.11.14 한국화 안료 (0) 2018.11.14 댓글